'Windows'에 해당되는 글 13건
- 2014.02.23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0.6) (31)
- 2012.10.03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통합) (25)
- 2011.07.25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멀티플랫폼 지원) (14)
- 2010.10.11 Win VS Mac VS Linux 브라우저 벤치마킹!
- 2010.08.28 윈도우와 맥의 브라우저 대결! (4)
- 2010.02.17 맥북에서 윈도우의 컬러 스페이스 설정하기 (8)
- 2009.08.07 Windows 7 설치 및 소감 (2)
- 2007.06.03 Envy24, Vista x64용 드라이버 나왔다~!
- 2007.04.17 Windows Vista Ultimate OEM 구매 (2)
- 2007.02.27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SP1 (2)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0.6)
사용하다 보니 간단한 자막 싱크 기능이 필요해서 이번에 추가했습니다.
그리고 OS X에서 Java지원이 점점 줄어(들고 오라클이 맘에 들기도 하고) 레티나를 이제 지원하지 않아 OS X용을 따로 만들었습니다. 혹시 OS X Lion이하에서 사용하실분은 자바버전을 사용해주세요.
덤으로 윈도우도 High DPI를 지원하게 수정했습니다. 글자 크기도 키울 수 있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서 천천히 알아봐야겠습니다.
[실행방법]
- Windows: MinySubtitleConverter.exe를 실행.
- OS X: MinySubtitleConverter.app을 실행.
- Java
- GUI:MinySubtitleConverter.jar를 실행.
- CLI: java -jar MinySubtitleConverter.jar를 입력.
[사용방법]
- 변경할 파일을 프로그램에 드래그 & 드롭
- File > Open > 파일을 선택
[필요사항]
- Windows: .NET Framework 2.0~3.5, 4.0이상 [.NET 4.0 다운로드]
- OS X: OS X 10.8 Mountain Lion이상
- Java: Java SE 6이상 [다운로드]
- [공통] 싱크 조절 기능 추가.
- [OS X] OS X 네이티브 개발
- [Windows] High DPI 기능 추가
- [Windows] .NET 4.0용 추가
- [OS X] SRT -> SMI 띄어쓰기가 없어지는 문제 수정
'컴퓨터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0.6) (31) | 2014.02.23 |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통합) (25) | 2012.10.03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멀티플랫폼 지원) (14) | 2011.07.25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32) | 2010.12.04 |
smi -> srt 변환 프로그램 (16) | 2010.11.27 |
필요한 기능이 있어서 만들어본 이미지 뷰어 = ㅅ=;;; (2) | 2010.03.28 |

- 이전 댓글 더보기
-
litdemon 2015.03.20 18:39
*.smi를 더블 클릭할 때 시작하는 프로그램으로 minSubtitleConvert.exe 을 등록하고 smi 파일을 더블 클릭할때 srt 파일로 자동 변환하게 하면 정말 편하게 사용하지 않을까요? Open해서 파일 찾아서 열기도 귀찮은 게으름뱅이 유저였습니다. ㅠ.ㅠ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통합)
1년만에 업데이트네요 ㅎㅎ
그동안 제가 쓰면서 불편했던 점이나 블로그에 불편한점 올려주셨던것을 토대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버전부터 버전 네이밍 통일과, OS X를 별도로 분리 배포합니다.
OS X용으로 따로 만든건 아니고요. Java버전과 같은데, OS X용 패키징을 한번 더 해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게끔 했습니다.
[실행방법]
- Windows: MinySubtitleConverter.exe를 실행.
- OS X: MinySubtitleConverter.app을 실행.
- Java
- GUI:MinySubtitleConverter.jar를 실행.
- CLI: java -jar MinySubtitleConverter.jar를 입력.
[사용방법]
- 변경할 파일을 프로그램에 드래그 & 드롭
- File > Open > 파일을 선택
[필요사항]
- Windows: .NET Framework 2.0 이상 [Windows XP용 다운로드]
- OS X: Java SE 6 (Java SE 7은 한글 파일명 관련 버그가 있음.)
- Java: Java SE 6이상 [다운로드]
- [공통] 마지막 작업 설정 저장 기능 추가.
- [공통] SAMI의 주석제거 기능 추가.
- [공통] 프로그레시브바와 스테이터스 레이블 추가.
- [공통] 언어 기본 스레드 풀로 교체.
- [OS X] OS X에 최적화.
- [OS X] 파일 연결 추가.
- [Java] 자동 선택시 유니코드 인식 기능 강화.
- [Java] 자동 선택시 한글 인코딩 우선적 적용 기능 강화. (운영체제 기본 언어가 한글 혹은 타임존이 서울일 경우 한글 우선)
- [Java] 퍼포먼스 개선
'컴퓨터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0.6) (31) | 2014.02.23 |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통합) (25) | 2012.10.03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멀티플랫폼 지원) (14) | 2011.07.25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32) | 2010.12.04 |
smi -> srt 변환 프로그램 (16) | 2010.11.27 |
필요한 기능이 있어서 만들어본 이미지 뷰어 = ㅅ=;;; (2) | 2010.03.28 |

-
안녕하세요 2012.10.15 03:34
오와, 오늘 검색해서 여기까지 왔는데, 업데이트 하신지 며칠 안 되셨네요..
잘 쓰겠습니다.
한가지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자막 변환툴로써는 좋은데요..
자막을 합치는 기능까지 품어 보는 것은 어떠실지요?
아, 그럼 자막을 쪼개는 기능 만들어 달라는 사람도 나타나겠군요..-_-
[추가]
검색해보니 '합치기/나누기' 기능에 자막 입력기능까지 하는 유틸리티도 있네요;; 근데.. 자막 좀 수정하면서 이것저것 유틸리티만 설치하게 생겼네요..ㅋㅋ -
안녕하세요 2012.10.15 21:08
이참에 만들어보자해서 어제 자막툴을 만들어봤어요..^^;;
싱크조절은 매우 쉬운 거 같더군요.. 자막 합치는게 구현하기는 쉬운데.. 문제가..좀;;;
괜히 이것저것 기능 더하면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는거 같기도 하고 그래서..
모두 별도로 해서 만들어봤는데.. 싱크 조절은 그냥 smi 에 있는 텍스트를 가지고 Start=000 000부분에 시간을 더하는(음수와 양수) 식으로 해서 치환하는 정규식 코드로 만들어보니까 쉽게 잘 되더군요.. 자막 합치는게 좀 문제더군요. 동영상 파일의 시간과 자막의 시간이 100% 똑같이 나눠져 있지 않은 자막도 더러는 있어서 오차가 존재하더군요. 그래서 오차 범위는 동영상과 음성을 확인해가면서 싱크조절을 해서 합쳤는데.. 이 과정이 불편하고.. 결국 해답은 전문 자막 편집 툴을 사용해야 하는가 하는 아쉬움이.. 좋은 유틸 감사하고요, 저도 나중에 한번 smi <-> srt 도전해 보고 싶네요..^^ -
정말감사 2012.11.04 20:55
맥용 자막 변환기 찾다 찾다... 이것 저것 찾아봐도 작동 안해서 정말 고생했는데
요거 정말 좋내요~! 정말 매우 감사 합니다. 덕분에 살았내요!! -
asdf 2012.11.30 08:27
방금 사용해 봤는데, 루비 태그 제거랑 색상 태그 제거는 마음에 드는데
1. <BR>을 처리하지 않고 아예 없애버리는 거
2. UTF-8을 BOM 없이 표현해서 MPC-HC에서 깨지는 점
이 문제네요. <BR>을 개행문자로 치환하고 UTF-8임을 표시하는 표현을 변환된 파일에 넣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youruser 2012.12.12 08:52
감사합니다. 잘 쓰고 있는데요 ! 3D 화면에 자막을 설정하는 경우는 자막이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나뉘어
표시되어 무용지물입니다. 3D용 자막 설정이 가능하게 할 수 없을까요 ? -
md 2013.02.02 09:09
감사합니다. 헌데 OSX용에서 .smi 를 UTF-8로 .smi 바로 바꾸는건 안되는것 같네요.
무조건 srt로 바뀌더군요. 그것도 부탁드립니다^^ -
-
아무개 2014.07.06 10:58
러시아 자막을 srt 다운로드 해서 테스트 하니 변환은 가능한데 받은 자막파일이 이상있엇는데
변환 해도 그대로네요 1
00:01:44,180 --> 00:01:54,999
찌矣齬壯 乙逸?잼雪怏壯
2
00:01:58,199 --> 00:02:01,080
厥展??哀尊燼!
3
00:02:06,640 --> 00:02:08,420
厥嵬杖鎭贈!
4
00:02:09,420 --> 00:02:11,020
絞 楫嶢!
폰에서 러시아 자막 그대로 보이든데 windows에서 위처럼 보이네요
기능 보니 러시아어는 없네요
파일 변환시 저장 누르면 변환 되엇으면 좋겟네요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멀티플랫폼 지원)
윈도우용은 [여기]에서 받으세요 ㅎㅎ
[실행방법]
- GUI 환경: MinySubtitleConverter.jar 을 더블클릭.
- CLI 환경: java -jar MinySubtitleConverter.jar 을 입력. (하지만 아직 GUI필요)
- 변경할 파일을 프로그램에 드래그 & 드롭
- File > Open > 파일을 선택
- Java 6이상 [다운로드]
[다운로드]
'컴퓨터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0.6) (31) | 2014.02.23 |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통합) (25) | 2012.10.03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멀티플랫폼 지원) (14) | 2011.07.25 |
SMI <-> SRT 자막 변환 프로그램 (32) | 2010.12.04 |
smi -> srt 변환 프로그램 (16) | 2010.11.27 |
필요한 기능이 있어서 만들어본 이미지 뷰어 = ㅅ=;;; (2) | 2010.03.28 |
-
crrr 2011.08.03 15:14
만들어주신 변환기 정말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아웃풋 인코딩부분에..
일반적인 smi자막 ansi인가요?? 그걸로 설정하는건 어떤걸 선택해야하는지요? 제가 사용중인 재생기중에 ansi로 인코딩된 자막만 인식하는게 있어서요 ㅠㅠ 요즘 utf-8로 제작된 자막들이 다 인식이 안되서.. 패러럴스 부팅해서 윈도우 메모장으로 일일이 다 열어서 ansi로 저장해서 보구 있거든요 ㅠㅠ 이걸로 하면 너무 간편해서 꼭 알고 싶습니다. -
crrr 2011.08.04 15:09
아.. 프로그램이 아니구요.. 사용중인 모니터에 usb로 외장하드나 메모리를 물려서 영화재생하는 기능이 있거든요. lg제품인데.. 메뉴얼엔 ascii 자막만 인식한다고 써있어요. 메모장으로 asni로 저장하면 재생이 되더라구요.. 알려주신 두가지 버전으로 다시 저장해서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stk 2012.09.10 06:09
현재 Moutain Lion을 사용하는데 잘 안되네요. Java SE 6을 사용중이며..프로그램 실행은 되는데.. GUI에서 설정창이 열리고 파일 열기 해서 smi파일을 열어도 srt가 저장되지 않습니다.
동일한 폴더에 저장되어야 정상동작인것으로 추측되는데... -
Win VS Mac VS Linux 브라우저 벤치마킹!
사용된 장비는 [여기]서 확인하시고.
이번에 사용된 OS들은
Mac OS X 10.6.4 Show Leopard
Ubuntu Desktop Edition 10.10 64-bit
Windows 7 Ultimate X64
셋 모두 64비트 운영체제에 최신 업데이트, 드라이버 설정까지 끝난 상태입니다.
그리고 사용된 브라우저는
Chrome 6.0.472.63
Firefox 3.6.10
Internet Explorer 8.0 (64-bit)
Opera 10.62
Safari 5.0.2 (맥에서는 64비트, 윈도우에서는 32비트입니다)
모두 정식에 최신 버전입니다.
일단 윈도우 부터
전체적으로 매우 뚜렷한 성능차가 나는군요
딱... 계단으로 보일 정도로요 ㅎㄷ
그럼, 맥을 볼까요
마지막으로 리눅스를 보겠습니다.
오페라는 맥과 비슷한 수준이고
파이어폭스는 세 운영체제중 제일 하위입니다. (그래도 64비트 IE보단 훨 빠름 ㅋ)
이번 벤치마크를 하며 느낀건
1. 크롬의 위엄 ㅋ
2. 구글은 크롬 OS때문인지 리눅스에 신경을 많이 쓰는듯 함.
3. 파이어폭스 리눅스에서 왜 이래?
결론
1. 속도는 그저 크롬이 진리.
2. 너무나도 저사양이면 리눅스 + 크롬 추천
3. 그래도 사용자 편의성이나, 각종 플러그인은 파이어폭스가 압도적으로 우위
에궁 이거 때문에 윈도우 파티션 날려서 다시 잡고 거기에 우분투 10.10 출시되는거 기다리고 난리도 아니였네요 ㅎㄷ
특히 우분투의 맥의 지원이 생각보다 미흡해서 이걸 지워야 하나 고민도 하고요 ㅎㄷ
뭐 어째튼, 각 운영체제별 퍼포먼스가 궁금했었는데 이걸로 조금은 해소해서 다행입니다. ㅎㅎ
'컴퓨터 > 홈페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 VS Mac VS Linux 브라우저 벤치마킹! (0) | 2010.10.11 |
---|---|
휴~ 돌아왔다... 도메인은 뺏겼지만 ㅠ.ㅠ (4) | 2008.05.20 |
스킨을 바꿨습니다. (2) | 2007.12.09 |
Tistory로 이주했습니다. (4) | 2006.12.22 |
인터넷에 사진 올릴 때 간단한 팁! (2) | 2006.10.06 |
스킨을 손봤습니다. (2) | 2006.10.01 |

윈도우와 맥의 브라우저 대결!
요즘 웹 브라우저 벤치마크인 Peacekeeper 라는것이 인기인거 같아서 한번 윈/맥 두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거론되는 브라우저 5개를 벤치마크해봤습니다.
일단 두 환경의 공정성을 위해 같은 컴퓨터(제 맥북)에 최신 운영체제가 설치된 환경에서 테스트했습니다.
Mac OS X 10.6.4 Show Leopard
Windows 7 Ultimate X64
참고로 둘 다 64비트 운영체제 입니다. ㅎ
그리고 사용된 브라우저는
Chrome 5.0.375.127
Firefox 3.6.x (실수로 윈도우에서 업데이트를 안했... 0.0.1 차이라 그냥 무시 ㅎㄷ)
Internet Explorer 8.0
Opera 10.61
Safari 5.0.1 (맥에서는 64비트, 윈도우에서는 32비트입니다)
모두 정식버전으로 테스트 했습니다.
일단 윈도우부터 갑니다.
크롬과 오페라가 근소한 차이로 1~2위군요, 이 둘은 브라우저 성능으로 항상 업치락 뒷치락 하고 있는 놈들이라 속도 하나는 끝내줍니다 ㅎㄷ
다음으로 사파리... 크롬과 같은 엔진을 사용하는데도 많이 뒤처지네요
파이어폭스가 4위인데 참고로 저는 파이어폭스를 사용합니다. ㅎㅎ (헤어나올 수 없는 강력한 플러그인들!)
마지막으로 인터넷 익스플러가 5위인데... 저거 64비트 버전이라서 800점대입니다 ㅡㅡ;;; 32비트버전에서는 600점대 나옵니다 ㅎㄷ
자세한 점수~
다음으로 맥을 한번 보겠습니다.
사파리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에서는 32비트버전밖에 없지만, 맥의 경우에는 스노우 레퍼드에서 64비트로 돌아가거든요 아마 그거때문에 저런 차이가 나는가 싶습니다.
자세한 점수~
여기에 리눅스도 끼우고 싶긴 하지만... 설치하기 매우 귀찮아서 패스~ ㅋㅋ
결론
...
1. 모든 브라우저가 64비트로 전환됬으면 좋겠다 ㅡㅡ
2. 어도비, 플래시 64비트로 전환 안하냐? 니네 때문에 전환을 못하고 있잖아!! ㅅㅂ
3. 맥은 인터페이스가 좋은 운영체제지, 성능이 좋은 운영체제는 아니다.(비단 브라우저뿐만은 아님)
덤] 맥용 파폭4.0b4는 3517점 나옴... 아직 갈 길이 멀구나... ㅎㄷ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와 맥의 브라우저 대결! (4) | 2010.08.28 |
---|---|
iPhone 3Gs에서도 안테나 문제가? (2) | 2010.06.29 |
USB 무선랜 개조 (2) | 2010.03.11 |
맥북에서 윈도우의 컬러 스페이스 설정하기 (8) | 2010.02.17 |
Apple iPhone 3Gs (4) | 2009.12.25 |
Microsoft Comfort Curve Keyboard 2000 (4) | 2009.10.14 |

맥북에서 윈도우의 컬러 스페이스 설정하기
맥북에서 본 블로그
어느 세대의 맥북에 한정된 이야기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내가 산 맥북에 부트캠프를 이용해서 윈도우를 설치하면 생기는 문제 중 하나가.
ㅡ,.ㅡ
이렇게 시~~~ 퍼렇게 나오게 되는 점입니다. ㅡㅡ;;;;
이리 저리 확인 한 결과, 모니터의 색 온도 (정확히는 LED의 색 온도) 자체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데, 액정 자체가 푸른빛을 많이 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ㅡㅡ;;; (흰색만 띄워놨을 경우 문제없지만, 회색을 띄워 놓으면 푸른빛이 강함)
그래서 일단, 안그래도 맥북의 LCD패널 자체가 색 온도가 높은 편인데, 거기에 윈도우 상태에서 푸른빛이 너무 강해 자칫 사진을 볼 때 제색상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서, 수정을 좀 해야하는데...
그래서~ 윈도우에서 (정확히는 비스타 및 7 한정... XP는 되는지 테스트를 못했다 ㅠㅠ) 색상을 잡는 방법을 공개하겠습니다 > ㅁ</
일단 몇가지 사전 지식으로 ICC Profile 에 대해 한번 읽어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
뭐, 이리 저리 해서, 모니터, 프린터등등의 색상정보를 맞추기 위해 ICC 프로파일을 이용해서 색상 정보를 맞추게 됩니다.
그런데 맥북 같은 경우 색상정보를 맞추기 위해 컬러프로파일을 미리 적용한 상태로 출시를 합니다. 그런고로~
그 맥의 ICC 파일을 윈도우에 적용하면 되는것입니다. (간단 간단)
일단 맥북에서 사용되는 ICC프로파일의 위치가
/Library/ColorSync/Profiles/Displays/Color LCD-4272F80.icc
위의 위치에 존재합니다. 부트캠프를 이용하는 분들은 이것을 따로 설치하실 필요는 없고요.
일단 위치는 확인 했으니 윈도우로 재부팅 합니다. ^^
윈도우로 재부팅 했으면 다시 한번 프로파일의 위치를 확인 하는데 윈도우에서 맥의 디스크에 접근할 수 있죠? 그래서 위치를 확인해 보면
E:\Library\ColorSync\Profiles\Displays\Color LCD-4272F80.icc
이 위치에 존재합니다. (설정에 따라 드라이브명이 다를 수도 있어요) 잘 기억해 두시고~
다음 시작메뉴를 누르시고 Color Management을 실행합니다. (한글판은... 내일 적을께요 ㅠㅠ)
일단 실행을 해도 수정이 불가능 합니다. 이게, 각 계정별로 컬러 프로파일을 수정할 수 있게끔 구성이 되어 있어서 그런데요... 일단, 상단 탭의 Advenced로 이동합니다.
뭔가 많은데, 무시하시고 하단에 Change system defaults를 클릭합니다.
아까와 같은 화면이지만, 조금 더 활성화가 된 낌이죠? 아래에 Add를 클릭합니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컬러 프로파일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ICC파일이 없으므로, Browse를 클릭합니다.
아까 말씀 드렸던 E:\Library\ColorSync\Profiles\Displays\ 로 이동해 Color LCD-4272F80.icc를 선택합니다.
그럼 바로 적용이 되고 화면이 푸른빛에서 아이보리 빛으로 바뀌는것을 느낄 수 있으실 겁니다 ^^
그럼 이제 다시 브라우저를 열어보면~
짜잔~~
제 색상으로 나옵니다 ^O^
그럼 이제 즐거운 윈도우 생활을 누릴 수 있겠죠? > ㅁ<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hone 3Gs에서도 안테나 문제가? (2) | 2010.06.29 |
---|---|
USB 무선랜 개조 (2) | 2010.03.11 |
맥북에서 윈도우의 컬러 스페이스 설정하기 (8) | 2010.02.17 |
Apple iPhone 3Gs (4) | 2009.12.25 |
Microsoft Comfort Curve Keyboard 2000 (4) | 2009.10.14 |
Windows 7 설치 및 소감 (2) | 2009.08.07 |

-
-
백작 2010.07.06 22:04
좋은 정보 완전 감사합니다.. 전 2008년형 맥북프로에 패럴쓰다가 붓캠으로 윈도우7쓰고있는데 너무 맘에 안들어서 일일이 색보정 해줬거든요ㅠ 이 방법을 왜 생각못했을까ㅠㅠ
-
테츠쇼 2010.08.22 15:20
ㅠㅠ 전 xp로 사용하고 있는데 컬러때문에 ㅜㅜ
매우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전 xp한글버전이기
때문에 처음 컬러설정들어가는 방법을 못찾겠어요 ㅠㅠ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뭔가 보답을 해드리고 싶습니다 ㅠㅠ -
지나가다 2013.02.03 06:12
맥에 기본 내장되있는 컬러 프로파일도 엉망입니다. 아무런 내용이 없어요. 그 프로파일을 가지고 사진 색이 어떻다 논하는 것은 그다지 의미가 없습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주변에 모니터 캘리브레이터 빌려서 보정을 하시거나 직접 구입해서 주기적으로 해주시길 추천합니다.
Windows 7 설치 및 소감
Windows 7 Enterprise
Windows 7 Enterprise를 설치했습니다.
...
솔찍히 비스타(SP2 기준)랑 뭐가 다른건지 거의 못느끼겠습니다. 퍼포먼스, 분위기 뭐 할꺼 없이 그다지 다른점도 없고...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들이 리본 인터페이스로 바뀐점과, 가젯이 약간 달라진점, 테스크바가 정렬이 잘된다는 점 정도?
역시 아무리 생각해봐도 윈도우 7과, 비스타의 관계는 98과 98SE 정도의 차이밖에 안느껴지네요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iPhone 3Gs (4) | 2009.12.25 |
---|---|
Microsoft Comfort Curve Keyboard 2000 (4) | 2009.10.14 |
Windows 7 설치 및 소감 (2) | 2009.08.07 |
Microsoft Wireless Notebook Optical Mouse 3000 (4) | 2009.05.04 |
정보처리기사 공부하던중에 (0) | 2009.05.02 |
Sun이 Oracle에 인수됬군요 (0) | 2009.04.21 |
Envy24, Vista x64용 드라이버 나왔다~!
지금까지 x64의 Envy24칩을 사용하는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가 없어서 보드내장으로 쓰고 있었는데 Vista x64용 드라이버가 나왔다는 소식에 다시 사운드카드를 장착하고 드라이버를 설치했습니다.
크오~

잘 작동하는군요 ^^
혹시 필요하신 분이 있으실까 해서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Via Windows 드라이버 홈페이지 : http://www.viaarena.com/default.aspx?PageID=2&Type=1
Windows Vista Ultimate OEM 구매

학교 갔다 오니 미국에서 뭔가 하나 날라와 있었습니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에 올라온 팁들에 대한 짤막한 푸념. (2) | 2007.08.08 |
---|---|
SEK 2007 (1) | 2007.06.24 |
Windows Vista Ultimate OEM 구매 (2) | 2007.04.17 |
FTTH를 설치했습니다. (6) | 2007.04.08 |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SP1 (2) | 2007.02.27 |
Vista에서 XP로 돌아왔습니다 (2) | 2007.02.22 |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SP1
Vista도 사용을 못하고 있고 해서 예전의 Server 2003 x64에 이어 XP x64를 설치를 해 보았습니다.
현재 제 컴퓨터의 모든 장치가 x64용 드라이버가 모두 존재해(프린터 제외, 비스타 제외) 무리 없이 설치를 했는데요 다 설치하고 난 뒤의 느낌은
XP네 -_-;
뭐, 별거 있습니까…
확실히 x86버전에 비해 다른 점은 거의 없었지만 Task Manager의 등록정보를 보니 재미있는 점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건 바로 윈도우 버전인데 5.2로 표기되어 있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실 테지만 5.0은 2000, 5.1이 XP, 5.2는 Server 2003입니다.(덤으로 Vista는 6.0이죠)

하도 이상해서 System Properties를 열어보니 이런~ Version 2003 Service Pack 1이군요

혹시나 해서 IIS버전을 확인해도 6.0… (XP는 5.1이였나? Server 2003이 6.0)
그리하여, 나중에 조사해보니 XP x64는 Server 2003 x64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서비스 팩 역시 1이였고, Server 2003과 모든 것이 동일했던 것이었습니다.
뭐, 사용하는 데에는 XP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요. 현재 백신으로 AVS를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잘 돌아갑니다 >.< 게임은… 마비노기밖에 안돌려봤지만 잘 돌아갑니다 ^^ 단, 마비노기 홈페이지에서 억지로 설치하라는 AhnLab의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은 모르는 CPU라며 설치를 거부하지만요(니네 일 그따위로 할래?)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 운영체제 이지만 생각 외로 쓸만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x64용 소프트웨어는 물론, x86역시 잘 돌아가고 64비트 CPU의 모든 성능을 끌어낼 수 있다는 느낌이랄까요? 나름대로 만족스럽습니다 ^^
하지만, 그래도 저는 Vista x64버전을 쓰고 싶습니다. (VIA, 빨리 Vista x64용 Envy24드라이버 내놔라 -_-+ 그리고 한국MS, 한국에도 OEM버전 풀면 안되겠니?).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Vista Ultimate OEM 구매 (2) | 2007.04.17 |
---|---|
FTTH를 설치했습니다. (6) | 2007.04.08 |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SP1 (2) | 2007.02.27 |
Vista에서 XP로 돌아왔습니다 (2) | 2007.02.22 |
한국 Microsoft, Windows Vista 예약판매 (6) | 2007.01.29 |
Java 1.6.0 (2) | 2006.12.12 |